입영일자 본인선택 제도란
입영일자 본인선택 제도는 현역병 입영대상자가 개인 일정에 맞춰 원하는 입영 날짜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특히 반수생의 경우 대학 입시 일정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입영 시기를 정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 현역병 입영대상자로서 해당 연도에 입영을 희망하는 사람
- 올해 병역판정검사를 받은 현역입영대상자
- 재학생 입영연기 중인 사람도 신청 가능
- 1997년 이전 출생자는 신청 불가
신청은 병무청 누리집 또는 병무청 앱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접수 시작 시간에는 서버 접속이 지연될 수 있어 PC 사용을 권장합니다.
입영신청 공지 바로가기반수생 입영일자 취소 가능 여부
반수생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 3~4월 입영으로 신청한 후 1~2월에 대학에 합격하면 취소하고 학교를 다닐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 입영일자 취소는 입영일 30일 전까지 가능합니다
- 최대 3회까지 취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취소 횟수는 취소 시점과 상관없이 입영일자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대학 합격 후 재학생 입영연기를 신청하면 졸업 시까지 자동 연기됩니다
예를 들어 3월 15일 입영 예정이라면 2월 13일까지 취소가 가능합니다. 4월 20일 입영이라면 3월 20일까지 취소할 수 있습니다. 대학 합격 발표는 보통 12월부터 2월 사이에 이루어지므로 3~4월 입영으로 신청했다면 충분히 취소 가능한 기간입니다.
입영취소 신청 바로가기입영일자 변경 및 취소 방법
입영일자를 변경하거나 취소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병무청 누리집이나 병무청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변경: 입영일 60일 전까지 1회 가능
- 취소: 입영일 30일 전까지 총 3회 가능
- 졸업예정자 및 졸업연령초과자는 취소 불가, 연기만 가능
- 온라인 또는 관할 지방병무청 방문하여 신청
변경의 경우 입영일 60일 전까지 1회에 한해 가능하며, 취소는 30일 전까지 3회까지 가능합니다. 단, 고졸 학력자나 졸업예정자의 경우 취소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반수생을 위한 전략적 입영 계획
반수생은 입시 일정과 군 입대 시기를 전략적으로 계획해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수능 이후 여유 있는 시기로 입영일자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 3~4월: 정시 합격 발표 후 취소 가능한 시기
- 5~6월: 대학 등록 확정 후 입영 또는 재학생 연기
- 9~12월: 수능 이후 입영 선호 시기이나 공석 경쟁 치열
수능은 11월에 치르고 정시 합격 발표는 12월~2월 사이에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3~4월 입영으로 신청하면 합격 여부를 확인한 후 취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됩니다.
대학에 합격하면 입영일자를 취소하고 재학생 입영연기를 신청하면 됩니다. 불합격 시에는 그대로 입영하거나, 다시 입시에 도전하고 싶다면 대학입시 사유로 입영연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재수생은 21세가 되는 해 5월 말까지, 삼수생은 22세가 되는 해 5월 말까지 연기가 가능합니다.
재학생 입영연기 바로가기입영일자 신청 시 유의사항
입영일자 본인선택 제도를 이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은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공석 마감 시 신청 불가
- 특히 상반기 1~6월은 선호 시기로 공석이 조기 마감됨
- 신청 완료 즉시 입영부대까지 자동 결정
- 본인만 신청 가능하며 대리 신청 불가
- 로그인 후 5분 이상 미사용 시 자동 로그아웃
접수 시작 시간에는 신청자가 몰려 서버 접속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무청 앱보다는 PC를 사용한 신청을 권장하며, 접속 전에 본인인증 수단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입영일자를 선택할 때는 본인의 상황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반수생의 경우 입시 일정, 대학 등록 기간, 개강 날짜 등을 모두 확인한 후 여유 있는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무청 홈페이지 바로가기입영일자 본인선택 및 입영연기에 대해 더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다면 관할 지방병무청 현역입영과 또는 병무민원상담소(1588-909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개인별 상황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